반응형

청동기 시대(B.C. 2000년 경~1500년 경부터)

- 더욱 다양한 간석기를 만들어 사용

- 반달 돌칼, 바퀴 날 도끼, 홈자귀 등의 농기구 제작

- 돌을 정교하게 갈아서 만든 간돌검 등 제작 (사냥 도구 및 무기로 사용)

- 거푸집(금속도구 주조틀)을 통해 청동기를 제작

- 비파형 동검, 거친 무늬 거울, 청동 방울, 농경 무늬 청동기 (표면에 농경 모습) 등

- 중국식 청동기(구리+주석)가 아닌 시베리아 북방식 청동기(구리+주석+아연)의 영향을 받음

- 청동기를 만드는 전문 장인이 존재

- 청동기는 농기구로 사용되지 않음 (청동기를 제작하기 어렵고 재질이 무르기 때문)

- 청동기 시대에도 간석기나 나무로 만든 목기를 농기구로 사용함

- 덧띠새김무늬 토기,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손잡이 존재), 붉은 간토기 등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

생산력의 증가 - 농경과 목축이 더욱 발달

                   - 신석기시대에 재배하던 조, 피, 수수에 더해 콩, 보리를 재배

                   - 벼농사 시작 (부여 송국리, 여주 흔암리에서 발견된 탄화미가 증거)

무덤의 제작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이 만들어짐 (돌널=돌로 만든 관)

                - 고인돌은 강력한 군장의 힘을 나타내는 증거

청동기인의 주거 형태 - 직사각형 형태의 움집에서 생활

                             - 집터는 주거용 외에 창고, 작업장, 집회 및 공공 의식 장소 등도 확인됨

                             - 주변 부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환호와 목책을 설치

부계 중심 사회 - (농경, 전쟁 과정에서) 남녀의 분업화 → 부계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로 변화

선돌(입석) 제작 - 선돌(입석) : 부족의 경계를 표시하며 거석 숭배 신앙을 반영

토우 제작 - 토우(흙으로 만든 인물상), 호랑이와 말 모양의 띠고리 장식 등 출토

식 석기·청동기 시대의 움집 비교

식석기 시대의 움집 (주로 반지하에 위치) 청동기 시대의 움집 (지상 가옥 등장)

원형 움집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장방형) 움집

가운데에 불을 피우는 화덕이 위치

화덕이나 출입문 옆에 저장 구덩이 설치

주로 강가나 해안가에 위치

주로 직사각형 움집

한쪽 벽면으로 화덕의 위치가 이동

저장 구덩이를 따로 설치하거나 벽면에 돌출시켜 저장

배산임수 지역 선호(산간, 구릉 위치), 집단 취락 형태

(적을 막기 위해) 환호(구덩이)와 목책(울타리) 설치

 

청동기 시대 유적지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넓게 분포)

충남 부여 송국리, 경기 여주 흔암리, 충남 서천 화금리, 평북 의주 미송리, 전북 고창, 강화 부근리

다양한 바위 그림(암각화)이 만들어짐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 고령 장기리 알터 바위그림, 울산 천전리 바위그림, 영일 칠포리 암각화 

반응형
반응형

구석기 (약 70만 년 전부터)

구석기 시대 유적지

- 구석기시대에 이미 간단한 도구와 함께 불을 사용함.

-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등 (사냥용 석기)

- 긁개, 밀개 등 (조리용 석기)

- 주먹도끼(양면핵석기) : 전기 구석기시대의 핵심 석기, 다양한 용도로 '만능 석기'로 불림

- 1978년 경기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와 박편 도끼 등이 다량 출토 → 모비우스 학설이 무너짐

- 사냥(동물), 채집(식물), 어로(수산물) 활동을 통해 생존 (ex : 매머드 사냥)

-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

-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생활

- 짐승 가죽을 착용 (아직 옷을 만들지 못함)

- 평등한 공동체, 지도자 존재(권력은 없음)

- 고래와 물고기 등을 새긴 조각으로 단순 주술이 존재 (원시 신앙은 아님)

- 구석기 시대 유적의 분포는 주로 한반도 내륙을 중심으로 나타남

구석기시대 유적지

- 구석기 전기 유적지

충북 단양 금굴,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 연천 전곡리, 충북 단양 상시리 바위 그늘

- 구석기 중기 유적지

함북 웅기 굴포리, 충북 제천 점말 동굴, 강원 양구 상무룡리, 평남 덕천 승리산 동굴, 평양 역 포리 대현동,

제주 빌레못 동굴 유적지

- 구석기 후기 유적지

함북 종성 동관진, 충북 단양 수양개, 충북 제천 창내, 충남 공주 석장리, 충북 청원 두루봉 흥수굴, 평양 만달리 동굴

 

 

반응형
반응형

중석기 시대 (B.C. 8000년 경)

-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기 (빙하기와 후빙기 사이의 간빙기)

- 유럽과 아시아에서만 적용되는 개념으로서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은 아님

- 작고 빠른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도구의 변화가 나타남

- 작고 날카로운 작석기 를 나무나 뼈 등 이음 도구에 꽂아 사용

- 대표적인 도구 : 슴베찌르개

- 슴베찌르개는 차츰 화살 촉으로 발전 → 활과 창을 제작하여 사용

중석기 시대 유적지

북한 지역 - 평양 만달리, 함북 웅기 부포리 등

남한 지역 - 경남 거창 임불리, 강원 홍천 하화계리, 경남 통영 상노대도 등

신석기 시대(B.C.8000년 경부터)

- 기존의 사냥, 채집, 어로를 바탕으로 처음으로 농경과 목출이 시작됨

- 농경은 조, 피, 수수 등 밭농사 위주로 이루어짐 (벼농사는 청동기 시대에 시작)

- 목축은 개, 돼지를 키움

- 구석기 시대에 수렵과 채집에 의존하던 인류가 농경을 통해 생산 경제의 시대로 접어들게 됨

- 돌괭이, 돌삽, 돌낫, 돌보습 등 (농경에 쓰이는 도구)

- 갈돌과 갈판 (조리용 도구)

- 원형 움집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장방형)의 움집 제작

- 원시 신앙이 등장

- 애니미즘(정령 신앙), 토테미즘(동.식물 숭배), 영혼 불멸 사상과 조상신 숭배, 샤머니즘(무당과 주술)

-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과 그물을 제작

- 치레걸이와 조개껍데기 가면 등의 장신구 사용

- 씨족 중심으로 공동체 생활 영위 : 모계 중심의 폐쇄적 사회

- 계급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

- 신석기 유적의 분포는 주로 한반도 해안을 중심으로 나타남

신석기 시대 유적지

- 제주 한경 고산리, 강원 양양 오산리, 서울 암사동, 부산 동삼동, 황해 봉산 지탑리, 평양 남경,

함북 청진 농포동, 함북 웅기 굴포리 서포항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