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 씨 무신 정권과 주요 반란 (1196년 ~ 1270년)

최충헌 집권기 (19대 명종 ~ 23대 고종)

최충헌

  •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함.
  • 19대 명종에게 봉사 10조를 제출하면서 정권 장악의 명분을 삼음.
  • 막강한 권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뜻에 따라 국왕을 교체 (명종-신종-희종-강종-고종)
  • 명종이 자신의 뜻에 맞지 않자, 20대 신종을 옹립함.
  •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국정 최고 기구로 활용함.
  • 이규보를 비롯한 문신을 등용하면서 무신 정권에서 소외된 문신의 능력을 활용함.
  • 자신의 사노비인 만적의 난을 진압하고,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도방을 강화함.

만적의 난 (노비 해방 운동)

  • 최충헌의 사노비인 만적의 주도 아래 공·사 노비들이 일으키려다가 미수에 그친 반란.
  • 노비 해방을 부르짖는 만적의 연설에 호응하여 노비들이 구체적인 거사 계획을 마련함.
  • 거사일 전에 율학박사 한충유의 사노비인 순정의 밀고로 만적 등이 체포되어 강에 수장됨.

최광수의 난 (고구려 부흥 운동)

  • 고구려 부흥을 명분으로 군졸이었던 최광수가 군사를 규합하여 서경에서 일으킨 난.
  • 거란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원된 서경 군대의 병졸인 최광수가 주도하였으나 결국 진압됨.

최우 집권기 (23대 고종)

최우

  • 최충헌의 아들, 최충헌이 죽자 아버지의 뒤를 이어 교정별감으로서 최고 권력을 누림.
  • 정방 설치: 문무 백관의 인사 문제를 담당하는 기구.
  • 서방 설치: 최우의 집에 설치된 문관 숙위 기구 (현명한 문신을 뽑아서 숙직하게 함)
  • 마별초 조직: 최씨 정권의 호위 및 의장대 역할 수행.
  • 야별초 조직: 최씨 정권을 보호하기 위해 야간 순찰과 도둑 단속을 위한 부대 (민란 방지)
  • 삼별초 조직: 야별초를 좌 별초, 우 별초로 나누고 몽골군의 포로에서 돌아온 자들을 뽑아 신의군으로 삼아 이를 삼별초(좌 별초, 우 별초, 신의군)로 확대 개편함.
  • 강화도 천도: 몽골의 침입을 맞아 백성을 산성과 해도로 옮기고 수도를 강화도로 옮김.
  • 팔만대장경 조판 착수: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을 격퇴하고자 대장경 재조에 착수 (사후에 완성됨)
  • 글씨가 뛰어난 신품 4현으로 불림 (고려 때까지의 명필 4명)
  • 신품 4현: 신라의 김생, 고려의 탄연, 유신, 최우

이연년 형제의 난 (백제 부흥 운동)

  • 백제 부흥을 명분으로 이 연년 형제가 전남 담양(원율)에서 일으킨 난.
  • 최 씨 정권의 팔만대장경 조판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비용 마련 과정의 백성 수탈에 따른 저항.
  • 전라도 나주성을 포위하여 관군과 대립하다가 이 연년이 살해되면서 실패함.

최항과 최의 집권기 (23대 고종)

최항

  • 최우의 서자. 최우가 죽자 교정별감이 되어 대몽 강경책을 전개하다가 병사함.

최의

  • 최항과 천민 사이에서 출생. 최항이 죽자 교정별감이 되어 1년 동안 집권함.
  • 일부 측근들에게 의존하는 정치를 펼치다가, 반대파인 김준(김인준) 등에게 살해됨.

개경 환도와 무신 정권의 종말

말기 무신 정권 (23대 고종 ~ 24대 원종)

김준 (김인준)

  • 최의에 의해 권력에서 소외되자 이에 불만을 품고 세력을 규합하여 최의를 살해함.
  • 1259년 24대 원종이 즉위하자 교정별감에 올라 권력을 장악함.
  • 1268년 원나라에 입조하라는 명령에 두려움을 느껴 원의 사신을 죽이고 원종 제거를 시도함.
  • 왕권 강화를 꾀하던 원종은 임연을 시켜 김준을 살해함.

임연

  • 김준을 도와 최의를 제거하면서 권력의 중심에 진입하였으나, 이후 김준을 죽이고 권력을 장악함.
  • 고려가 원나라와 화의를 추진하자, 불안함을 느끼고 원종 폐위를 시도함. (일시적으로 폐위시킴)
  • 원나라의 압력으로 원종이 복위한 후, 원나라의 진상 규명 압박에 시달리다가 병사함.

임유무

  • 임연의 아들. 임연이 죽자 권력을 장악함.
  • 원종과 대신들의 개경 환도 결정에 따르지 않고 거역하다가 원종과 반대파에 의해 살해됨.
  • 이로써 1170년 무신정변 이후 100년 동안 이어진 무신 정권이 막을 내림.

100년 간에 걸친 무신 집권기에는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먼저 문신의 몰락에 따라 유학이 크게 후퇴한 대신에 문신들은 정치적 좌절감 속에서 옛날의 문운이 융성했던 시절에 대한 낭만적 향수에 빠진 이들이 적지 않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낭만적 성향의 문학 활동이 활발해진 것이다. 그 대표적 인물들은 이인로, 임춘, 오세재, 조통, 황보항, 함순, 이 담지 등으로서 이들은 중국의 강좌 7현에 비유하여 스스로를 해좌 7현으로 자처하면서 음주와 시가를 즐기며 살았다. 특히 명문 인주 이 씨 출신의 이인로는 파한집을 써서 고려 역대 문인들의 명시들에 얽힌 이야기와 개경, 평양, 경주 등지의 풍속과 풍경 등을 묘사하였다.

반응형
반응형

무신정변 (1170년, 의종 24년)


제18대 의종 (1146년 ~ 1170년)

  • 무신정변으로 폐위: 문신을 우대하고 사치와 향락을 일삼다가 무신정변으로 폐위되어 거제도에 유베됨. (1170년)

  • 김보당의 난 때 피살: 1173년 문신 김보당이 의종 복위를 내세워 일으킨 난 과정에서 이의민의 진압군에게 피살됨.

보현원 사건 (1170년)

  • 보현원 사건: 의종이 보현원에서 베푼 연회에서 문신들의 오만함에 격분한 무신들이 거사를 일으킴.

  • 이고, 이의방, 정중부 등이 문신들을 제거 후, 의종을 거제도로 귀양보내고 동생인 명종을 세운 후 정권을 장악함.

  • 무신정변을 계기로 문벌 귀족 사회가 붕괴되었으며, 고려는 이 사건을 계기로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눔.

 

초기 무신 정권과 주요 반란 (1170년 ~ 1196년)


이의방 집권기 (19대 명종)

이의방

  • 무신정변의 주역 중 한 명인 이고가 권력을 독점하려 하자 이고를 죽이고 권력을 장악함.

  • 권력을 독점하며 전황을 저지르다가 정중부 일파에게 살해됨.

김보당의 난 (의종 복위 운동)

  • 문신이었던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이 폐위된 의종 복위를 내세워 일으킨 난 (=계사년의 난)

  • 김보당 세력이 거제도에 유배되어 있던 의종을 받들고, 이의방, 정중부 등에 맞서 군사를 일으킴.

  • 이의방과 정중부는 이의민을 앞세워 반란 진입에 나서고 주동자인 김보당을 잡아 죽임.

  • 이의민은 경주에서 사로잡은 전 국왕 의종도 참혹하게 살해하고 반란을 평정함.

  • 무신들에게 정권을 빼앗긴 문신들에 의해 일어난 전형적인 반 무신의 난.

개경 승도의 난 (귀법사 승려의 난)

  • 왕실과 문신 세력에 의해 보호받던 승려들이 무신 정권의 횡포에 저항하면서 일으킨 난.

  • 이의방 집권기부터 최충헌 집권기까지 끊임없이 지속됨.

  • 1174년 개경 귀법사의 승려들이 이의방의 횡포에 저항하여 봉기하였다가 관군에게 공격당함.

  • 이에 귀법사, 중광사, 홍화사 등의 승려 2천여 명이 연합하여 봉기하였으나 실패함.

  • 승려들의 난은 기존의 왕실과 문벌 귀족 체제를 복구시키려는 성격의 반람임.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 서경유수 조위총이 서북 지방민에 대한 차별에 저항한다는 명분으로 일으킨 난.

  • 서경의 반란군이 개경을 접근한 가운데, 이의방이 정중부 일파에 의해 피살됨.

  • 1176년 조위총이 체포되어 처형당하고 남은 무리 또한 진압됨.

 

정중부 집권기 (19대 명종)

정중부

  • 상장군으로서 보현원에서 일어난 무신정변을 주도한 인물임.

  •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는 와중에 당시 최고 실권자인 이의방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함.

  • 문하시중이 되어 중방을 중심으로 정치하다가 젊은 무신 경대승에게 살해됨.

망이·망소이의 난

  • 충청도의 공주 명학소에서 농민들이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일으킨 난 (=공주 명학소의 난)

  • 한때 충청도 전역을 점령하기도 하였으나, 관군의 대대적인 진압으로 결국 실패함.

 

경대승 집권기 (19대 명종)

경대승

  • 젊은 장군으로서 정권을 장악한 정중부 일파를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함.

  • 최고 권력 기구인 중방을 무력화시키고, 사적 집단인 도방을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함.

  • 5년 동안 권력을 누렸으나, 30세의 나이로 병사함.

전주 관노의 난

  • 전주에서 관노(관청에 소속된 노비) 죽동의 주도로 일어난 노비들의 난 (=죽동의 난)

  • 관리들의 가혹한 형벌과 노동력 징발에 반발하여 일어났으나, 지도부의 내분으로 결국 실패함.

 

이의민 집권기 (19대 명종)

이의민

  • 천민 출신으로서 기골이 장대하고 수박희(전통 무예)를 잘해 의종의 총애를 받음.

  • 1170년 무신정변에서 활약하고, 3년 후 김보당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폐위된 의종을 살해함.

  • 1174년 조위총의 난 진압에도 앞장서면서 출세가도를 달려 무반 최고직인 상장군에 오름.

  • 정중부를 죽이고 집권한 경대승이 병사하자, 실권을 장악하여 천민 출신 무신들을 중용함.

  • 10년 넘게 권력을 휘둘렀으나, 권력에서 소외된 무신들을 규합한 최충헌에 의해 살해됨.

김사미·효심의 난

  • 신라 부흥을 명분으로 무신 정권에 대항하여 일어난 최대 규모의 민란임.

  • 삼남 지방의 농민인 김사미와 효심이 청도(운문)와 울산(초전)을 중심으로 일으킨 난임.

  • 대규모의 민란으로 전개되었으나 관군에 의해 1년 만에 진압됨.

고려 말기 무신 집권기 (최씨 무신 정권)

https://skyblue607.tistory.com/74

 

무신 집권기 (최씨 무신 정권)

최 씨 무신 정권과 주요 반란 (1196년 ~ 1270년) 최충헌 집권기 (19대 명종 ~ 23대 고종) 최충헌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함. 19대 명종에게 봉사 10조를 제출하면서 정권 장악의 명분을 삼음. 막강한 권력..

skyblue607.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