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왕호 변천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립간 → 왕
신라 중요 왕들의 계보
제1대 혁거세 거서간 (B.C.57년~A.D.4년)
- 신라 건국
제17대 내물 마립간 (356년~402년)
- 낙동강 동쪽 진한 지역 차지
- 박 씨, 석 씨, 김 씨가 돌아가면서 왕을 선출하였음 → 내물마립간 때부터 김 씨의 왕위 계승 확립
- 대군장을 사용하는 마립간 칭호 사용하기 시작
- 중국 전진과 외교 관계
- 고구려에 내물 마립간의 사촌인 실성을 인질로 파견
- 백제, 가야, 왜 연합군에 고구려 광개토 대왕에게 원조 요청 (400년)
제18대 실성 마립간 (402년~417년)
- 내물 마립간이 죽은 후, 화백 회의를 통해 사촌인 실성이 왕위에 오름
- 태자 눌지를 시기하여 고구려군을 이용해 살해 시도 → 고구려군은 실성 마립간을 죽이고, 눌지 태자를 왕으로 삼음
제19대 눌지마립간 (417년~458년)
- 충신 박제상의 활약으로 고구려와 왜에 인질로 갔던 두 동생 복호와 미사흔이 귀환
- 부자 상속제 확립
- 고구려 장수왕의 평양 천도로 백제 비유왕과 나·제 동맹 체결
- 고구려 승려 묵호자를 통해 불교 전래 (공인은 법흥왕 때)
제21대 소지마립간 (479년~500년)
- 6부의 행정을 구역화함
- 우역을 설치하여 우편 역마 제도 시행
- 수도 경주에 시사 개설
- 결혼 동맹 (백제 동성왕과 결혼 동맹 체결)
신라의 전성기 (6세기)
제22대 지증왕 (500년~514년)
- 지증왕 때 국호를 신라로 확정 (덕업일신 망라사방에서 가져옴)
- 신라에서 처음으로 "왕" 칭호 사용
- 지방 행정 구역을 중국의 제도를 본떠 주, 군으로 정비
- 우경 실시 : 소를 이용해 농사 지음
- 순장 금지 (순장 대용 흙인형 등장)
- 경주에 동시와 동시전 설치
- 이사부 장군을 보내 우산국 복속
- 최초의 소경 설치
제23대 법흥왕 (514년~540년)
- 병부 설치 (군사 업무를 담당하는 병부 설치)
- 율령 반포, 17 관등제와 백관의 공복 제정
-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 공인
- 상대등 설치 (귀족회의인 화백 회의 의장으로 상대등 설치)
- 금관가야 정복
- 연호 "건원" 사용
제24대 진흥왕 (540년~576년)
- 연호 : 개국 → 태창(대창) → 홍제
- 한강 유역 확보
- 대가야 정복
- 함경도 진출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영토 확장 후 비열홀주 설치 → 황초령비, 마운령비 건립)
-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비, 창녕 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단양 적성비는 순수비가 아님)
- 최고 행정 기관인 품주 설치
- 화랑도 개편
- 역사서 <국사> 편찬
- 고구려 승려 혜량을 맞아들여 불교 교단을 조직
제26대 진평왕 (579년~632년)
- 연호 "건복" 사용
- 위화부(인사 담당), 조부(재정 담당), 예부(의례와 교육) 설치
- 중앙 군단인 녹금서당 설치
- 고구려 온달 격퇴
- 원광법사에게 걸사표를 짓게 함
- 수나라 양제의 고구려 침공 → 고구려의 을지문덕이 살수대첩을 통해 수나라 격퇴
- 이찬 칠숙과 아찬 석품이 일으킨 귀족의 난을 진압
제27대 선덕여왕 (632년~647년)
- 신라 최초의 여왕
- 승려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몽골의 3차 침입 때 불에 타서 목탑 완전 소실)
- 분황사와 영묘사 건립
- 첨성대 건립
- 비담과 염종의 난
제28대 진덕여왕 (647년~654년)
- 김춘추, 김유신의 주도로 관제 정비
- 나·당 동맹 체결
- 당나라에 태평 송 바침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부흥 운동 (0) | 2019.09.25 |
---|---|
가야 연맹 (0) | 2019.09.24 |
[한국사]백제 왕 계보 (0) | 2019.09.21 |
[한국사]고구려 중요 왕 계보 (0) | 2019.09.20 |
삼국의 정치 기초적인 개념 (0) | 2019.09.19 |